📚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Test 1 12번: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이 문서는 2025년 수능특강영어 Test 1 12번 문제에 대한 상세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 문제는 어법상 틀린 부분을 찾아내는 유형으로, 문장의 구조, 동사의 형태, 대명사의 쓰임, 관계사, 수의 일치 등 다양한 문법적 요소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은 지식 추구 자체에서 오는 즐거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외부 보상(성적)에 의한 학습은 장기 기억에 효과적이지 못하고 오히려 내재적 동기를 해칠 수 있음을 주장합니다. 제공해주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지문 원문, 의미 단위별 번역, 문제 해설, 그리고 선택지 분석을 통해 지문의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문제 영어 지문 원문 의미 단위별 분석 및 번역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정답 ④
🌱 It is obvious that
- 해석: ~라는 것은 자명하다(=분명하다).
- 해석 스킬: 'It is obvious that ~'은 ~라는 것이 분명하다를 의미하는 구문으로, 'It'은 가주어, 'that'절은 진주어입니다. 'obvious'는 분명한, 명백한을 의미합니다.
📌 any significant achievement occurs
- 해석: 어떤 중요한 성취도 일어난다는 것은.
- 해석 스킬: 'any ~'는 모든, 어떤 ~도를 의미하며 긍정문에서는 'every'와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습니다. 'significant achievement'는 중요한 성취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occur'는 발생하다, 일어나다를 의미합니다.
🌱 only where the self attributes intrinsic pleasure
- 해석: 자아가 내재적인 즐거움을 부여하는 곳에서만.
- 해석 스킬: 'only where ~'는 오직 ~한 곳에서만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입니다. 'the self'는 자아를 의미합니다. 'attribute A to B'는 A를 B의 탓으로 돌리다, A를 B에 부여하다를 의미하는 구문입니다. 여기서는 '부여하다'가 적절합니다. 'intrinsic pleasure'는 내재적인 즐거움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to the pursuit of knowledge.
- 해석: 지식을 추구하는 것에.
- 해석 스킬: 'to ~'는 ~에라는 대상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the pursuit of knowledge'는 지식의 추구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지식을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 Students may pass courses,
- 해석: 학생들은 과목을 통과할 수는 있지만,
- 해석 스킬: 'may ~'는 ~할 수도 있다라는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pass courses'는 과목을 통과하다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but little of the information learned
- 해석: 학습한 정보 중 거의 대부분은.
- 해석 스킬: 'little of ~'는 ~중 거의 없는/거의 대부분은 아니다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냅니다. 'learned'는 information을 수식하는 과거분사로, '배워진 정보'를 의미합니다.
🌱 from the reward of grade incentives
- 해석: 성적 인센티브라는 보상 때문에.
- 해석 스킬: 'from ~'은 ~때문에라는 원인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the reward of grade incentives'는 성적 인센티브라는 보상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of'는 동격을 나타내어 '~라는'으로 해석합니다.
📌 will ① be stored in long-term memory.
- 해석: 장기 기억 속에 저장되지 않을 것이다.
- 해석 스킬: 'be stored in ~'은 ~에 저장되다를 의미하는 수동태 구문입니다. 주어가 'little of the information'이므로 단수 동사 'will be'가 적절하며,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므로 수동태가 올바릅니다. 'long-term memory'는 장기 기억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어법상 올바름)
🌱 When the rewards cease,
- 해석: 만약 보상이 중단되면,
- 해석 스킬: 'When ~'은 ~할 때라는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사지만, 문맥상 'If ~'처럼 조건으로 해석해도 자연스럽습니다. 'cease'는 멈추다, 중단되다를 의미합니다.
📌 so ② does the motivation to remember,
- 해석: (학습한 것을) 기억하려는 동기도 마찬가지다(= 또한 사라지게 된다).
- 해석 스킬: 'so + 조동사 + 주어'는 ~도 역시 그렇다라는 동의 구문으로, 앞 문장의 동사(cease)를 대신하여 사용됩니다. 앞 문장이 일반동사이므로 'does'가 적절하며, 주어 'the motivation'이 단수이므로 'does'가 올바릅니다. 'motivation to remember'는 기억하려는 동기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어법상 올바름)
🌱 which is why the vast amount of information learned
- 해석: 그 때문에 학습한 방대한 양의 정보가.
- 해석 스킬: 'which is why ~'는 그 때문에 ~하다를 의미하는 구문으로, 앞 문장 전체를 선행사로 받는 관계대명사 'which'가 사용되었습니다. **'the vast amount of ~'는 방대한 양의 ~**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learned'는 information을 수식하는 과거분사입니다.
📌 is lost within weeks.
- 해석: 몇 주 안에 사라지게 된다.
- 해석 스킬: 'be lost'는 사라지다, 잃어버려지다를 의미하는 수동태 구문입니다. 주어 'the vast amount of information'은 단수 취급하므로 'is'가 올바릅니다. 'within weeks'는 몇 주 안에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어법상 올바름)
🌱 In one study on math games,
- 해석: 수학 게임에 관한 한 연구에서,
- 해석 스킬: 'In one study'는 한 연구에서를, 'on math games'는 수학 게임에 관하여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on'은 '~에 관하여'라는 주제를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 children’s performance was compared
- 해석: 아동들의 수행 능력을 비교해보았다.
- 해석 스킬: 'performance'는 수행 능력, 성과를 의미합니다. 주어 'performance'는 비교되는 대상이므로 수동태 'was compared'가 올바릅니다.
🌱 between a reward program
- 해석: 보상 프로그램이 있을 때의 수행 능력과.
- 해석 스킬: 'between A and B'는 A와 B 사이에를 의미하는 구문입니다.
📌 and the follow-up ③ during which no rewards were provided.
- 해석: 어떠한 보상들도 제공되지 않았던 그 뒤의 후속 추적 조사 기간의 수행 능력 사이를.
- 해석 스킬: 'follow-up'은 추적 조사, 후속 조치를 의미합니다. 'during which ~'는 그 기간 동안 ~하다를 의미하는 관계부사 구문입니다. 'during'은 '~동안'을, 'which'는 관계대명사로 'the follow-up'을 선행사로 받습니다. 'no rewards were provided'는 '어떠한 보상도 제공되지 않았다'는 의미로 올바른 수동태 표현입니다. (어법상 올바름)
🌱 The reward program did initially produce more interest
- 해석: 그 보상 프로그램은 처음에는 실제로 더 많은 흥미를 유발했다.
- 해석 스킬: 'did produce'는 동사 'produce'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initially'는 처음에(는)**라는 부사입니다.
📌 and the children played more.
- 해석: 그리고 아이들은 더 많이 게임을 했다.
🌱 However, those who initially had enjoyed the games
- 해석: 하지만 처음에 그 게임들을 즐겼던 아이들은.
- 해석 스킬: 'those who ~'는 ~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initially'는 처음에라는 부사입니다. 'had enjoyed'는 과거완료 시제로, 주절의 동사 'lost'보다 먼저 발생한 일(게임을 즐긴 것)을 나타내므로 올바릅니다.
📌 ④ losing interest during the follow-up
- 해석: 후속 추적 조사 기간 동안 흥미를 잃었고.
- 해석 스킬: 이 부분은 문장의 본동사 자리입니다. 앞의 'those who initially had enjoyed the games'가 주어이므로, 이어서 동사가 와야 합니다. 하지만 'losing'은 현재분사로, 동사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과거형 동사 'lost'**가 되어야 합니다. 'losing'을 'lost'로 고쳐야 합니다. (어법상 틀림 - 정답)
- 올바른 형태: lost interest
🌱 and played less after the reward program ended.
- 해석: 그리고 보상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게임을 덜 했다.
- 해석 스킬: 'played less'는 덜 게임했다를 의미합니다. 'after ~ ended'는 ~가 끝난 후에를 의미하는 시간 부사절입니다.
🌱 The researchers determined that
- 해석: 그 연구원들은 ~라고 결론지었다.
- 해석 스킬: 'determine'은 결정하다, 결론짓다를 의미합니다.
📌 it was the reward program
- 해석: 바로 보상 프로그램이었다고 (원인이).
- 해석 스킬: 'It is A that B'는 A를 강조하는 구문입니다. 여기서는 'the reward program'을 강조합니다.
🌱 that caused the children to like the games less.
- 해석: 아이들이 그 게임들을 덜 좋아하게 만든 것은.
- 해석 스킬: 'cause A to 동사원형'은 A가 ~하도록 만들다/야기하다를 의미하는 구문입니다.
🌱 Related research should cause us to think
- 해석: 관련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생각해야 한다.
- 해석 스킬: 'Related research'는 관련된 연구를 의미합니다. 'should cause us to think'는 우리가 생각해야 한다를 의미하는 구문입니다. (사물 주어 'Related research'는 부사구로 해석해서 '관련 연구에 따르면'으로 해석한다 cause' 동사의 주어가 되어 '~가 ~하게 하다'로 자연스럽게 해석됩니다.)
📌 about what we do to the minds of children
- 해석: 우리가 아이들의 마음에 해야 하는 것에 대해서 .
- 해석 스킬: 'about ~'은 ~에 대해라는 전치사입니다. 'what we do to ~'는 우리가 ~에 하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절입니다. 'the minds of children'은 아이들의 마음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in an obsessive grade competitive educational system.
- 해석: 성적 경쟁에 집착하는 교육 제도 속에서.
- 해석 스킬: 'in ~ system'은 ~ 제도 속에서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obsessive'는 집착하는, 강박적인을 의미합니다. 'grade competitive educational system'은 성적 경쟁적인 교육 시스템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Test 1 14번 해설 및 풀이 (2) | 2025.06.26 |
---|---|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Test 1 13번 해설 및 풀이 (3) | 2025.06.25 |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Test 1 7번 해설 및 풀이 (2) | 2025.06.23 |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Test 1 6번 해설 및 풀이 (5) | 2025.06.21 |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Test 1 5번 해설 및 풀이 (2)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