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뒷문장에 ‘지시어 + (추상)명사’를 주는 유형>
추상명사의 특성(‘생각의미’단어인지 유무 + 긍정적 or 부정적 의미)를 고려해서 앞문장과의 동의어 관계를 파악한다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2023년 5월 고3 영어모의고사 39번)
Indeed, in the Middle Ages in Europe, calculating by hand and eye was sometimes seen as producing a rather shabby sort of knowledge, inferior to that of abstract thought.
사실, 유럽의 중세 시대에는 손과 눈으로 측정하는 것은 다소 터무니없는(형편없는) 종류의 지식, 즉 추상적인 사고의 그것보다(종류보다) 열등한 지식을 만들어 낸다고 때때로 여겨졌다.
was seen as - : -로 간주되었다, -로 여겨졌다
a rather shabby sort of knowledge : 다소 형편없는 종류의 지식
‘ , ’는 and로 해석한다
inferior 뒤에 생략된 sort of knowledge를 넣어서 ‘열등한 (종류의) 지식’으로 해석한다
that of -에서 that은 sort를 지칭한다
Babylonian astronomers created detailed records of celestial movements in the heavens, using the resulting tables to sieve out irregularities and, with them, the favour of the gods.
바빌로니아의 천문학자들은 하늘에서의(하늘에서 일어나는) 천체운동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만들었고, 그 결과표를 사용하여 불규칙성을, 그리고 그것들로(그 불규칙적으로 일어나는 것들을 사용해서) 신의 은총(=규칙적으로 일어나는 것들)을 가려냈다.
‘sieve out -’는 -를 가려내다의 뜻이다
irregularities는 ‘불규칙성’이 아니라 ‘불규칙하게 일어나는 것들’로 해석한다
with them에서 them은 ‘irregularities'를 가리킨다
the favour 바로 앞에 생략된 sieve out를 넣어서 해석한다
( ① ) This was the seed of what we now call the scientific method — a demonstration that accurate observations of the world could be used to forecast its future.
이것이 우리가 현재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부르는 것, 즉 세상에 대한 정확한 관찰이(세상을 정확하게 관찰한 것들이) (세상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제로) 보여 주는 것 즉 씨앗이었다.
a demonstration는 ‘실제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한다
This는 앞문장 내용 전체를(결과표를 사용해서 불규칙적으로 일어나는 것들과 신의 은총(규칙적으로 일어나는 것들)을 가려낸 것을 가리킨다
( ② ) The importance of measurement in this sort of cosmic comprehension did not develop smoothly over the centuries.
이러한 종류의 우주의 이해에 관한(이러한 종류로 우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측정의 중요성은(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수 세기 동안 원활하게 발전하지는 않았다(발전한 것은 아니다).
The importance of measurement은 measurement를 ‘측정’이 아니라 ‘측정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래서 ‘측정의 중요성’이 아니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으로 해석한다
cosmic comprehension은 ‘우주의 이해’가 아니라 ‘우주를 이해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did not develop에서 not은 ‘-않다’가아니라 ‘-는 아니다’로 해석한다
this sort of cosmic comprehension은 바로 앞문장의 accurate observations of the world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cosmic = world)
( ③ ) The suspicion was due to the influence of ancient Greeks in the era’s scholasticism, particularly Plato and Aristotle, who stressed that the material world was one of unceasing change and instability.
그 의심은(그러한 의심은) 그 당시의 스콜라 철학의(스콜라철학을 신봉했던) 고대 그리스인들, 특히 물질 세계는 끊임없는 변화와 불안정의 하나(세계)라고 강조했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끼친 영향) 때문이었다.
ancient Greeks in -에서 in은 ‘-을 믿었던, 신봉했던’의 뜻이다
‘the influence of -’는 ‘-가 끼친 영향’으로 해석한다
one of -는 ‘-의 하나’가 아니라 ‘-으로 이루어진 세계’라는 뜻이다
The suspicion에서 suspicion은 ‘생각의미 + 부정적 의미’를 가진 단어이므로 Box문장의 ‘형편없는 종류의 지식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여겨진다’와 동의어가 된다. (was seen as = 생각의미 shabby = 부정적 의미의 단어) 또한 보기②와 보기③사이에는 과거에 일어난 객관적 사실만 언급되어 있을 뿐 suspicion과의 동의어가 없다
( ④ ) They emphasized that reality was best understood by reference to immaterial qualities, be they Platonic forms or Aristotelian causes.
그들은(스콜라 철학의 고대 그리스인들은) 현실이 (그 비물질적인 특성들이) 플라톤적인 형태이든(플라톤이 말하는 ‘형태들’이라는 개념이든지)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원인이든(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원인들이란 개념이든지 간에) 비물질적인 자질을(특성들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된다고 강조했다.
They는 앞문장의 ancient Greeks in the era’s scholasticism를 가리킨다
‘문장 시작이 be 주어 -’인 경우는 ‘-인지 아니든지 간에’로 해석한다
be they에서 they는 immaterial qualities를 가리킨다
Platonic forms는 ‘플라톤적인 형태’가 아니라 ‘플라톤이 말하는 ’형태들‘이라는 개념’이라는 뜻이다
Aristotelian causes도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원인’이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원인들‘이란 개념’이라는 의미이다
( ⑤ ) It would take the revelation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to fully displace these instincts, with observations of the night sky once again proving decisive.
*celestial 천체의 **sieve 거르다
이러한 직관을(본능을) 완전히 대체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혁명이라는 뜻밖의 새로운 발견이(과학에 혁명을 일으켰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들이) 필요했을 것이고 밤하늘의 관찰이(밤하늘을 관찰하는 것이) 결정적임이(결정적인 방법임이) 다시 한 번 입증되었다.
주어가 It이고 take 뒤에 ‘시간아닌 명사’가 오면 take은 need의 뜻이다.
revelations of - 는 ‘-를 보여주는 것들’의 뜻이다
the revelation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은 ‘뜻밖의 새로운 발견’이 아니라 ‘과학에 혁명을 일으켰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들(이론이나 사실들을)이란 의미이다
these instincts은 앞문장의 ‘현실은 비물질적인 특성들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된다’라는 본능을 지칭한다
‘ , with -'는 ’and -'로 해석한다
decisive 뒤에 생략된 ‘방법’을 붙여서 해석한다
these instincts는 바로 앞문장의 ‘현실은 비물질적인 특성들로 더 잘 이해된다’라는 것을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