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 indicted for -, be accused of -, be charged of -의 의미 차이
본문 바로가기
영어단어동의어

be indicted for -, be accused of -, be charged of -의 의미 차이

by 수능영어해석법 2025. 5. 2.

[필수 영어 표현] '기소되다', '혐의를 받다'? be indicted for, be accused of, be charged with 차이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영어 뉴스를 읽거나 시사적인 내용을 접할 때 자주 등장하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특히 범죄나 법적인 문제와 관련하여 '기소되다', '혐의를 받다'와 같이 비슷하게 들리는 영어 표현들 때문에 헷갈리셨던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be indicted for', 'be accused of', 'be charged with' 이 세 가지 표현은 모두 어떤 잘못이나 범죄와 연관될 때 사용되지만, 법적 절차의 단계의미에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를 정확히 아는 것은 영어 독해력 향상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 이해에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필수 영어 표현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정의, 사용 주체, 법적 효력, 적용 범위 등을 상세히 비교하고 실제 예문을 통해 확실하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1. be accused of - : (~로 고소/고발되다, ~혐의를 받다)

'Be accused of -'는 가장 넓은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현입니다. 어떤 사람이 특정 범죄나 잘못된 행위를 저질렀다고 다른 사람이나 기관에 의해 주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단계는 공식적인 법적 절차가 시작되기 전일 수도 있고, 수사가 진행되는 초기 단계일 수도 있습니다. 아직 혐의가 확정되거나 기소된 상태가 아니며, 단순히 의심을 받거나 고소/고발을 당한 상황에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반드시 기소(indicted or charged)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2. be charged with - : (~로 기소되다, ~혐의로 입건되다)

'Be charged with -'는 수사 기관(경찰, 검찰 등)이 특정인을 범죄 혐의로 공식적으로 입건하고 법적인 절차를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ccused of'보다는 더 공식적인 단계이며, 혐의가 구체화되어 수사 기관의 판단으로 법적 조치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냅니다.

'Indicted with'와 유사하게 '기소되다'로 번역될 수 있지만, 'charged with'는 대배심의 결정 없이 검찰의 판단으로 기소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넓은 범위의 범죄(경범죄, 중범죄 모두)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정 혐의를 가지고 공식적으로 재판 절차를 시작하는 단계에 가깝습니다.

3. be indicted for - : (~으로 기소되다)

'Be indicted for -'는 주로 미국 법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 대배심(grand jury)이 제출된 증거를 검토한 후, 피고인이 범죄를 저질렀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공식적으로 재판에 회부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charged with'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대배심의 판단을 거친 공식적인 기소 절차를 나타냅니다. 주로 **중범죄(felony)**와 같은 심각한 범죄 사건에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be indicted'는 배심원들의 판단을 거쳐 재판이 시작된다는 의미를 포함합니다.

핵심 차이점 한눈에 비교하기

세 표현의 차이점을 표로 정리하여 비교해 보겠습니다.

특징 Be indicted for - Be accused of - Be charged with -
단계 대배심 기소 (재판 회부 결정) 고소/고발 또는 수사 초기 단계 수사 기관 기소 (법적 절차 시작)
주체 대배심 고소인, 고발인, 수사 기관 등 수사 기관 (주로 검찰)
법적 효력 공식적인 재판 절차 시작 혐의 제기, 수사 진행 가능성 공식적인 법적 절차 시작
적용 범죄 주로 중범죄 모든 종류의 범죄 및 잘못된 행위 넓은 범위의 범죄 (경범죄, 중범죄)
일반적 뉘앙스 대배심 통한 공식 기소, 재판 임박 혐의 제기, 의심받는 상황 수사 기관의 공식 입건 및 기소
Sheets로 내보내기

실제 예문으로 익히기

각 표현이 문장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Be accused of - (~로 고소/고발되다, ~혐의를 받다):

  • "She was accused of stealing money from the company." (그녀는 회사 돈을 훔쳤다는 혐의를 받았다.)
  • "The politician was accused of accepting bribes." (그 정치인은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로 고발되었다.)
  • "He's been accused of lying on his resume." (그는 이력서에 거짓말을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Be charged with - (~로 기소되다, ~혐의로 입건되다):

  • "He was charged with drunk driving after failing a breathalyzer test." (그는 음주 측정에 불합격한 후 음주 운전 혐의로 기소되었다 / 입건되었다.)
  • "The suspect was charged with assault and battery." (그 용의자는 폭행 및 구타 혐의로 입건되었다 / 기소되었다.)
  • "She was charged with shoplifting." (그녀는 가게 물건을 훔친 혐의로 기소되었다 / 입건되었다.)

Be indicted for - (~으로 기소되다):

  • "He was indicted for fraud after a lengthy investigation." (그는 오랜 수사 끝에 사기 혐의로 기소되었다.)
  • "The former CEO was indicted for corruption and embezzlement." (그 전 CEO는 부패 및 횡령 혐의로 기소되었다.)
  • "A grand jury indicted him for murder." (대배심은 그를 살인 혐의로 기소했다.) - 수동태 외 능동태 형태로 쓰이기도 합니다.

마무리하며

'be indicted for', 'be accused of', 'be charged with'는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법적 절차의 진행 단계와 뉘앙스에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 Accused: 단순히 혐의를 받거나 주장이 제기된 초기 단계
  • Charged: 수사 기관에 의해 공식적으로 혐의가 적용되고 법적 절차가 시작된 단계
  • Indicted: (주로 미국에서) 대배심의 판단을 거쳐 재판에 회부하기로 결정된 단계 (주로 중범죄)

이 차이점을 정확히 이해하시면 영어 뉴스를 포함한 다양한 원문 자료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꾸준히 복습하시고 실제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눈여겨보시길 바랍니다.

혹시 더 궁금한 영어 표현이 있으신가요? 댓글로 남겨주시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