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비 2025년 수능특강 영어 25강 2번 문제 분석 및 해설 및 변형 문제
본문 바로가기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2026학년도 대비 2025년 수능특강 영어 25강 2번 문제 분석 및 해설 및 변형 문제

by 수능영어해석법 2025. 5. 19.

2026학년도 대비 2025년 수능특강 영어 25강 2번 문제 분석 및 해설 및 변형 문제

본 문서는 2025년 출간된 수능특강영어 25강 2번 문항에 대한 상세 분석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해당 문항은 창의성 발현 과정에서 '배양(incubation)'의 역할에 대한 지문을 제시하고, 글의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추론하는 유형입니다. 제공해주신 분석 내용을 토대로 지문 원문 분석, 구절별 번역, 문제 해설 및 선택지 분석을 통해 지문의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본 지문을 활용한 다양한 변형 문제들을 제시하여 실전 대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문제 영어 지문 원문 구절별 분석 및 번역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해석: 풍부하게 지식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

해석스킬: 동명사구(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가 문장의 주어입니다. 'have a rich store of ~'는 '~를 풍부하게 저장하다/가지다'는 의미로 해석합니다.

 

📌 in an area

해석: 어떤 한 분야에

해석스킬: 앞선 명사(knowledge)를 수식하는 전치사구입니다.

 

🌱 is the basis for creativity,

해석: 창의성의 근거가 된다,

해석스킬: 주어(Having ~ area)에 대한 동사(is)와 보어(the basis for creativity)입니다. basis for ~는 '~의 근거, 기반'이라는 의미입니다.

 

📌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해석: 그러나 더 많은 어떤 것을 필요로 한다.

해석스킬: 'but'은 앞선 내용과 대조를 이룹니다. 'something more'는 주어이며, 'is needed'는 수동태로 '필요로 된다, 필요하다'로 해석합니다.

 

🌱 For many problems,

해석: 많은 문제들에서,

해석스킬: 문장 앞에서 전체를 수식하는 전치사구입니다.

 

📌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해석: 그 ‘또 다른 무언가’는 능력이다

해석스킬: 주어(that “something more”)와 동사(is), 보어(the ability)의 구조입니다. that은 앞 문장에서 언급된 something more를 지칭합니다.

 

🌱 to see things in a new way

해석: 사물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볼 수 있는

해석스킬: the ability를 수식하는 to부정사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in a new way는 '새로운 방식으로'라는 부사구입니다.

 

📌 — restructuring the problem,

해석: — 즉 문제를 재구성하는 것,

해석스킬: 앞선 내용(to see things in a new way)을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동명사구입니다. restructuring은 '재구성하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해석: 그리고 그것은 갑작스러운 통찰력을 야기한다.

해석스킬: 앞선 절(restructuring the problem) 전체를 선행사로 받는 관계대명사 which의 계속적 용법입니다. 'lead to ~'는 '~를 야기하다, 초래하다'는 의미입니다. insight는 '통찰력'입니다.

 

📌 Often this happens

해석: 이런 일은 종종 일어난다

해석스킬: 주어(this)와 동사(happens), 부사(Often)입니다. this는 앞선 내용(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보고 통찰을 얻는 것)을 가리킵니다.

 

🌱 when a person has struggled

해석: 어떤 사람이 씨름을 해왔을 때

해석스킬: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끄는 when입니다. 'has struggled'는 현재완료 시제로 계속의 의미('계속 씨름해 왔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struggle with ~는 '~와 씨름하다'는 의미입니다.

 

 

📌 with a problem or project

해석: 어떤 문제나 과제와

해석스킬: struggle with의 목적어입니다.

 

🌱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해석: 그리고 잠시 그것을 옆으로 제쳐둘 때

해석스킬: when 절 안에서 has struggled와 병렬 구조를 이루는 동사(sets)입니다. 'set A aside'는 'A를 옆으로 제쳐두다'는 의미의 숙어입니다. it은 a problem or project를 가리킵니다. for a while은 '잠시동안, 한동안'이라는 부사구입니다.

 

📌 Actually,

해석: 실제로

해석스킬: 문장 처음에 와서 앞선 내용에 대해 부연 설명하거나 강조하는 연결 부사입니다.

 

🌱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해석: 그것은(=문제를 처리해 나가는 것은) 그것보다 더 복잡하다.

해석스킬: it은 앞선 내용(incubation)을 가리킵니다. more complex than ~는 '~보다 더 복잡한'이라는 비교급 표현입니다. that은 앞 문장의 내용을 가리킵니다.

 

📌 Incubation is more helpful

해석: (문제를) 숙성시키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해석스킬: 주어(Incubation)와 동사(is), 보어(more helpful)입니다. Incubation은 '배양, 숙성'이라는 의미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문제를 처리하는 것을 뜻합니다. 문맥상 '문제를 숙성시키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해석: 더 긴 준비 기간이 앞서 이루어질 때(=선행할 때)

해석스킬: 시간을 나타내는 when절입니다. a longer preparation period는 when절의 주어이며, precedes는 동사로 '~에 앞서다, 선행하다'는 의미입니다.

 

📌 the individual’s setting the problem aside.

해석: 그 사람이 그 문제를 옆으로 제쳐두는 것보다

해석스킬: precedes의 목적어입니다. 'the individual's'는 동명사(setting)의 의미상 주어를 나타내는 소유격이며, 'setting the problem aside'는 동명사구로 '~를 제쳐두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 Leaving the problem

해석: 문제를 떠나 있는 것이

해석스킬: 동명사구(Leaving the problem)가 문장의 주어입니다. 'leave the problem'은 '문제를 (잠시) 떠나 있다, 제쳐두다'는 의미입니다.

 

📌 for a time

해석: 잠시동안(=한동안)

해석스킬: 앞선 동명사구를 수식하는 부사구입니다.

 

🌱 probably interrupts

해석: 아마도 중단시켜 줄 지도 모른다

해석스킬: 주어(Leaving ~ time)에 대한 동사(interrupts)와 부사(probably)입니다. interrupt는 '~를 중단시키다'는 의미입니다.

 

📌 strict ways of thinking

해석: 경직된 사고방식을

해석스킬: interrupts의 목적어입니다. strict ways of thinking은 '엄격한/경직된 사고방식'입니다.

 

🌱 so you can restructure

해석: 그래서 여러분은 재구성할 수 있다

해석스킬: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 so 뒤에 이어지는 절입니다. restructure는 '~를 재구성하다'는 의미입니다.

 

📌 your view of the situation

해석: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상황에 대한 견해를

해석스킬: restructure의 목적어입니다. view of ~는 '~에 대한 견해, 관점'입니다.

 

🌱 and think more differently.

해석: 그리고 (이전과는) 더 다르게(=유연하게) 생각할 수 있다.

해석스킬: can restructure와 병렬 구조를 이루는 동사(think)입니다. more differently는 '더 다르게'라는 부사구로, 문맥상 '더 유연하게' 생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Creativity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해석: 창의성에는 폭넓은 지식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해석스킬: 주어(Creativity)와 동사(requires), 목적어(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입니다. require A B는 'A에게는 B가 필요하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extensive는 '폭넓은'입니다. flexibility는 '유연성, 융통성'입니다.

 

📌 and the 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

해석: 그리고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해석스킬: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와 병렬 구조를 이루는 목적어입니다. reorganizing of ideas는 '아이디어의 재구성' 또는 '아이디어를 재구성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continual은 '지속적인'입니다.

 

🌱 as well as motivation and persistence.

해석: 뿐만 아니라 동기 부여와 끈기도.

해석스킬: 'as well as B, A'는 'B뿐만 아니라 A도'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는 A에 해당하는 앞선 내용들(지식, 유연성, 아이디어 재구성)과 B에 해당하는 motivation and persistence가 함께 나열되었습니다. persistence는 '끈기'입니다.

📝 문제 해설 및 핵심 파악

이 문제는 창의성 발현에 필요한 요소 중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추론하는 문제입니다. 지문은 풍부한 지식이 창의성의 기반이지만 '또 다른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시작합니다. 이 '무언가'는 '사물을 새로운 방식으로 보는 능력'이며, 이는 문제를 '재구성'함으로써 갑작스러운 통찰을 얻는다고 설명합니다. 이후 필자는 이러한 통찰이 문제에 씨름하다 잠시 제쳐둘 때(set it aside) 일어난다고 설명하며, 이를 '배양(incubation)'이라고 지칭합니다. 마지막에서 세 번째 문장에서 빈칸이 있는 "__________ probably interrupts strict ways of thinking so you can restructure your view of the situation and think more differently."라는 문장을 통해, 경직된 사고방식을 방해하여 관점을 재구성하고 유연하게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지문은 문제를 잠시 제쳐두는 것('set it aside',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이 이러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므로, 빈칸에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들어가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 선택지 분석

  1. ① Engaging in related activities: 관련 활동에 참여하기 - 지문은 문제 자체에서 벗어나라고 말하지,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말하지는 않습니다.
  2. ② Maintaining consistent focus: 일관된 집중을 유지하기 - 지문은 문제에 씨름하다가 잠시 제쳐두라고 하므로, 일관된 집중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3. ③ Exploring alternative solutions: 대안적인 해결책들을 탐구하기 - 문제를 제쳐두는 것은 직접적으로 대안을 탐구하는 행위는 아닙니다.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보는 것을 돕는 과정입니다.
  4. ④ Seeking feedback from others: 다른 사람들로부터 피드백을 구하기 - 지문은 문제 해결의 내적인 과정(사고방식의 재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외부 피드백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5. ⑤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문제를 한동안 제쳐두기 - 지문에서 문제를 제쳐두는 것(set it aside, time away)이 경직된 사고방식을 방해하고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한다고 명확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빈칸 문장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정답)

📝 변형 문제

 

1. 주제 (Theme)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he importance of deep knowledge in creative problem solving

② Various psychological approaches to enhancing creativity

③ The role of incubation and cognitive restructuring in creative insight

④ How to overcome mental blocks in the process of thinking

⑤ The difference between conscious and unconscious problem solving

 

정답: ③

해설: 지문은 지식 외에 필요한 '무언가'로서 사물을 새롭게 보는 능력(재구성)과 통찰을 언급하고, 이를 위해 문제를 잠시 제쳐두는 배양(incubation)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따라서 배양과 인지적 재구성이 창의적인 통찰에 미치는 역할이 글의 핵심 주제입니다.

 

1-2. 주제 (Theme)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새로운 주제 유형 추가)

 

① Strategies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speed

②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cquisition and creativity

③ The necessity of taking a break for creative breakthroughs

④ Different types of creativity in various fields

⑤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on learning

정답: ③

해설: 지문은 문제에 씨름하다 잠시 제쳐두는 것(taking

a break)이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하고 통찰에 이르게 한다고 설명하며, 이는 창의적인 돌파구를 위해 휴식이 필요하다는 ③번 선택지와 일치합니다.

 

2. 제목 (Title)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Knowledge Is Power: The Foundation of Creativity

② The Psychology of Problem Solving

③ Stepping Away: The Key to Creative Insight

④ How Experts Achieve Breakthroughs

⑤ The Pros and Cons of Deep Concentration

 

정답: ③

해설: 지문은 문제를 잠시 제쳐두는 것('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또는 'time away')이 창의적인 통찰(insight)을 얻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Stepping Away'는 '잠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The Key to Creative Insight'는 '창의적 통찰의 열쇠'라는 의미로 글의 내용을 잘 나타냅니다.

 

3. 어휘 (Vocabulary)

밑줄 친 부분의 문맥상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in an area is the basis for creativity,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For many problems,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to see things in a new way — restructuring the problem,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Often this happens when a person has struggled with a problem or project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Some psychologists believe that time away allows for incubation, a kind of unconscious working through the problem. Actually,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Incubation is more helpful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the individual’s setting the problem aside.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probably interrupts strict ways of thinking so you can restructure your view of the situation and think more differently. Creativity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and the 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 as well as motivation and persistence.

 

① facilitates    ② maintains    ③ hinders    ④ accelerates    ⑤ reinforces

 

정답: ③

해설: 문맥상 문제를 잠시 제쳐두는 것이 '경직된 사고방식을 중단시켜'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interrupts'는 '중단시키다, 방해하다'는 의미이며, 'hinders'는 '방해하다, 저해하다'는 의미로 가장 유사합니다. 'facilitates(촉진하다)', 'maintains(유지하다)', 'accelerates(가속하다)', 'reinforces(강화하다)'는 문맥과 반대되거나 거리가 있습니다.

 

3-2. 어휘 (Vocabulary)

(A), (B), (C), (D), (E)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밑줄 5개 어휘 유형 추가)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in an area is the (A) basis  for creativity,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For many problems,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to see things in a new way — restructuring the problem,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Often this happens when a person has (B) struggled  with a problem or project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Some psychologists believe that time away allows for (C) incubation, a kind of unconscious working through the problem. Actually,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Incubation is more (D) helpful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the individual’s setting the problem aside. Creativity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and the continual (E) simplification of ideas as well as motivation and persistence.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정답: ⑤

해설: 글의 마지막 문장에서 창의성은 폭넓은 지식, 유연성, 그리고 아이디어의 '지속적인 재구성(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을 필요로 한다고 말합니다. 'simplification'은 '단순화'라는 의미로, 'reorganizing'과 상반되며 문맥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A) basis: 지식은 창의성의 '기반'이 된다는 의미로 적절합니다. (B) struggled: 문제와 '씨름하다'는 의미로 적절합니다. (C) incubation: 문제에서 잠시 떨어져 있는 동안 일어나는 '배양, 숙성' 과정을 의미하며 적절합니다. (D) helpful: 배양(Incubation)이 더 '도움이 된다'는 의미로 적절합니다.

 

4. 어법 (Grammar)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in an area is the basis for creativity,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For many problems,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to see things in a new way — restructuring the problem,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Often this ② happens when a person has struggled with a problem or project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Some psychologists believe that time away allows for incubation, a kind of unconscious working through the problem. Actually,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Incubation is more helpful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the individual’s ③ setting the problem aside.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probably interrupts strict ways of thinking so you can restructure your view of the situation and think more differently. Creativity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and the continual ④ reorganizing of ideas as well as motivation and ⑤ persistent.

 

정답: ⑤

해설: as well as 뒤에는 motivation과 병렬 구조를 이루는 명사가 와야 합니다. persistent는 형용사이므로 명사 형태인 persistence로 바뀌어야 합니다. ① Having: 동명사구의 주어로 올바르게 사용되었습니다. ② happens: 주어가 this(단수)이므로 단수 동사 happens가 올바릅니다. ③ setting: precedes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입니다. the individual's는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를 나타냅니다. 올바르게 사용되었습니다. ④ reorganizing: the 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는 creativity requires의 목적어 중 하나로 명사구이며, reorganizing은 동명사로 올바르게 사용되었습니다.

 

5. 빈칸 (Fill in the blank)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원 문제)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in an area is the basis for creativity,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For many problems,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to see things in a new way — restructuring the problem,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Often this happens when a person has struggled with a problem or project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Some psychologists believe that time away allows for incubation, a kind of unconscious working through the problem. Actually,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Incubation is more helpful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the individual’s setting the problem aside. __________ probably interrupts strict ways of thinking so you can restructure your view of the situation and think more differently. Creativity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and the 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 as well as motivation and persistence.

 

① Engaging in related activities

② Maintaining consistent focus

③ Exploring alternative solutions

④ Seeking feedback from others

⑤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정답: ⑤

해설: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원 문제 해설과 동일합니다.

 

5-2. 빈칸 (Fill in the blank)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새로운 중간 빈칸 유형 추가)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in an area is the basis for creativity,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For many problems,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to see things in a new way — restructuring the problem,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Often this happens when a person has struggled with a problem or project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Some psychologists believe that time away allows for incubation, a kind of unconscious working through the problem. Actually,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Incubation is more helpful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the individual’s setting the problem aside.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probably interrupts strict ways of thinking so you can restructure your view of the situation and think more differently. Creativity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and the 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 as well as motivation and __________.

 

① experience

② talent

③ concentration

④ persistence

⑤ knowledge

 

정답: ④

해설: 마지막 문장에서 창의성이 요구하는 여러 요소들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 빈칸은 as well as 뒤에 motivation과 함께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창의성에 필요한 또 다른 요소가 들어가야 합니다. 지문 전체 맥락에서 문제 해결에 있어 '오래 씨름하다가 제쳐두는 것'과 같은 과정이 언급되므로, 문제 해결을 포기하지 않는 '끈기'가 문맥상 가장 적절한 요소입니다. persistence는 '끈기'라는 의미입니다.

 

6. 글의 순서 (Order of paragraphs)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in an area is the basis for creativity,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A) Often this happens when a person has struggled with a problem or project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Some psychologists believe that time away allows for incubation, a kind of unconscious working through the problem. Actually,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B) For many problems,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to see things in a new way — restructuring the problem,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C) Incubation is more helpful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the individual’s setting the problem aside.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probably interrupts strict ways of thinking so you can restructure your view of the situation and think more differently. Creativity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and the 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 as well as motivation and persistence.

 

① (A) - (B) - (C)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정답: ②

해설: 주어진 문장은 창의성에 지식 외 '또 다른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언급합니다. (B)는 이 '또 다른 무언가'가 '새로운 방식으로 보는 능력(재구성)'이며 이것이 통찰로 이어진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A)는 이러한 통찰이 언제 일어나는지(문제에 씨름하다 잠시 제쳐둘 때) 예시를 들고 심리학자들의 '배양(incubation)' 개념을 소개합니다. (C)는 배양이 도움이 되는 조건과 그 구체적인 작동 방식(경직된 사고방식 중단, 관점 재구성)을 설명하며, 창의성에 필요한 전반적인 요소들을 나열하며 마무리합니다. 따라서 (B)에서 '무언가'의 정체를 밝히고, (A)에서 그 과정이 일어나는 상황과 용어(배양)를 소개한 후, (C)에서 배양의 효과와 필요성을 더 자세히 설명하는 흐름이 자연스럽습니다.

 

7. 문장 삽입 (Sentence insertion)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Actually,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in an area is the basis for creativity,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For many problems,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to see things in a new way — restructuring the problem,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Often this happens when a person has struggled with a problem or project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Some psychologists believe that time away allows for incubation, a kind of unconscious working through the problem. ① Incubation is more helpful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the individual’s setting the problem aside. ②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probably interrupts strict ways of thinking so you can restructure your view of the situation and think more differently. 

정답: ①

해설: 주어진 문장은 'Actually'로 시작하며 앞선 내용에 대한 부연 설명이나 수정, 혹은 더 복잡한 측면을 제시합니다. 앞 문장에서 심리학자들이 문제를 잠시 제쳐두는 것을 '무의식적인 배양'으로 본다고 언급한 후, 주어진 문장이 '실제로 그것은 그보다 더 복잡하다'고 말합니다. 이때 '그것(it)'은 앞서 언급된 배양 과정을, '그것(that)'은 '무의식적인 처리'라는 단순한 설명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리학자들의 설명 뒤에 와서 그 과정이 단순하지 않음을 시사하는 ①번 위치가 가장 적절합니다.

 

8. 무관한 문장 고르기 (Choose the irrelevant sentence)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Having a rich store of knowledge in an area is the basis for creativity, but something more is needed. For many problems, that “something more” is the ability to see things in a new way — restructuring the problem, which leads to a sudden insight. Often this happens when a person has struggled with a problem or project and then sets it aside for a while. Some psychologists believe that time away allows for incubation, a kind of unconscious working through the problem. ① Actually,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② Incubation is more helpful when a longer preparation period precedes the individual’s setting the problem aside. ③ The development of creative skills can be significantly boosted through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④ Leaving the problem for a time probably interrupts strict ways of thinking so you can restructure your view of the situation and think more differently. ⑤ Creativity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flexibility, and the continual reorganizing of ideas as well as motivation and persistence.

 

정답:

해설: 글은 창의적인 통찰을 얻는 과정에서 '배양'과 '사고방식 재구성'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지식의 필요성도 언급하지만, 전반적으로 문제 해결 과정 자체의 심리적인 측면을 다룹니다. ③번 문장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적 기술 개발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는 글의 핵심 내용과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9. 요약문 빈칸 완성 (Summary fill in the blank)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Beyond having sufficient knowledge, creativity often requires the ability to restructure one's perspective, leading to sudden insight. This process is facilitated by taking a break from the problem, which allows for cognitive __________ that interrupts fixed thinking patterns and promotes a more __________ view of the situation.

 

① rigidity - biased

② flexibility - objective

③ incubation - open

④ analysis - critical

⑤ memorization - structured

 

정답: ③

해설: 지문은 문제를 잠시 제쳐두는 것(taking a break)이 통찰(insight)로 이어진다고 설명하며, 이를 '배양(incubation)'이라고 합니다. 이 과정은 경직된 사고방식을 방해하고 상황에 대한 관점을 재구성하며 더 유연하게 생각하게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빈칸 (A)에는 '배양'을 의미하는 incubation이, 빈칸 (B)에는 '더 유연한 관점'과 관련된 '열린(open)' 또는 '유연한(flexible)'이 적합합니다. 선택지 중 (A)에 incubation이 있는 것은 ③번 뿐이며, 'open' view는 '새로운/다른 방식으로 보는 것'과 연결됩니다.

마무리

2026학년도 대비 2025년 수능특강 영어 25강 2번 문제는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배양(incubation)'의 중요성을 다룬 빈칸 추론 문제였습니다. 지문은 지식 외에 필요한 '새로운 방식으로 보는 능력', 즉 문제 재구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문제에서 잠시 벗어나는 과정(배양)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빈칸이 포함된 문장과 그 앞뒤 내용을 통해 문제를 잠시 제쳐두는 행위가 경직된 사고방식을 끊고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한다는 핵심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제시된 다양한 유형의 변형 문제들을 통해 지문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학습하고 실전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