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격 관계 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해석 방법
본문 바로가기
(영어구문해석편)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주격 관계 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해석 방법

by 수능영어해석법 2025. 5. 6.

[심층 영어 문장 분석] 복잡한 문장 구조 마스터하기: 관계대명사, with 구문 총정리!

안녕하세요! 긴 영어 문장을 만나면 해석이 어렵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문장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면 아무리 긴 문장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소 길고 복잡해 보이지만,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과 'with'를 사용한 부대 상황 표현 등 중요한 구문들이 담긴 문장 하나를 가져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문장은 조상들의 생계 방식과 그에 따른 노동의 특성을 대조하며 보여줍니다. 문장 구조를 하나하나 뜯어보고, 각 구문의 역할과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분의 영어 독해 능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세요. Tistory 블로그 게시 시 SEO를 고려한 관련 키워드와 태그도 포함했습니다.

 

📌 분석 대상 영어 문장 (English Sentence for Analysis)

Did one’s ancestors make a living as independent farmers tending rice paddies, which required planning and persistent labor, or did they make a living as serfs growing potatoes, which required planting in the spring and harvesting in the fall, with little attention necessary in between?

 

📝 전체 한국어 번역 (Full Korean Translation)

그 사람의 조상은 계획과 끈질긴 노력이 필요한 논농사를 지으며 독립적인 농부로 생계를 유지했는가, 아니면 봄에 심고 가을에 수확하기만 하면 되는 감자를 거의 손 쓸 일 없이 기르며 소작농으로 살아갔는가?

 

🔍 구절별 상세 분석 및 번역 (Detailed Phrase-by-Phrase Analysis & Translation)

문장을 구절별로 나누어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 그리고 상세한 설명을 함께 살펴봅시다.

 

Did one’s ancestors make a living

여러분의 조상들은 생계를 유지했나요?

make a living : 생계를 유지하다 one은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을 대상으로 한 글이므로 ‘여러분’으로 해석한다

 

 

as independent farmers tending rice paddies

논을 가꾸는 독립적인 농부로(=자영농으로)

tend : 가꾸다, 경작하다 rice paddy : 논

 

 

, which required planning and persistent labor,

그런데 그 것에는(=논을 가꾸는 일에는) 계획을 짜는 일과 꾸준한 노동이 필요했습니다.

persistent : 꾸준한, 지속적인 ‘ , which’는 ‘그리고 혹은 그런데 그것은’으로 해석한다 A require B 는 ‘A에게는 B가 필요하다’로 해석한다 이 문장에 나오는 ; , which’는 주격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이다, 따라서 ‘but + 그 + 선행사 + -은/는/이/가’ 또는 '그런데 그것은/그것이'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or did they make a living as serfs growing potatoes,

아니면 그들은 감자를 기르며 소작농으로 생계를 유지했는가,

serfs: 소작농, 농노 growing potatoes: 감자를 기르는

 

 

which required planting in the spring and harvesting in the fall,

그런데 그것은 (=감자를 기르는 일은) 봄에 심고 가을에 수확하는 것이 필요했지만,

required: 필요로 하다 planting: 심는 것 harvesting: 수확하는 것 in the spring: 봄에 in the fall: 가을에 여기서의 'which'는 앞선 내용 (감자를 기르는 일) 전체나 'growing potatoes'를 선행사로 받을 수 있습니다.

 

 

with little attention necessary in between?

그 사이(봄에 심고 가을에 수확하는 사이)에는 거의 손 쓸 일 없이?

attention: 관심, 돌봄 necessary: 필요한 in between: 그 사이(봄에 심고 가을에 수확하는 사이)에 little attention necessary: 필요한 관심이 거의 없는, 거의 손 쓸 일이 없는 'with little attention necessary in between'은 앞선 내용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입니다.

 

💡 문장 구조 및 핵심 표현 해설 (Sentence Structure & Key Expressions Explained)

이 문장은 두 가지 대조적인 생계 방식을 묻는 질문이 'or'로 연결된 병렬 구조입니다. 각 생계 방식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수식어구와 구문들이 사용되었습니다.

  1. 핵심 병렬 구조: Did one’s ancestors make a living as A, which ~? or did they make a living as B, which ~, with ~? 이처럼 Did 주어 동사 ~ or did 주어 동사 ~? 형태로 두 개의 질문이 나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2. 현재분사구의 명사 수식:
    • tending rice paddies: 바로 앞의 명사 'independent farmers'를 수식하여 '논을 가꾸는 독립적인 농부들'이라는 의미를 만듭니다. (현재분사 tending이 명사 farmers를 후치 수식)
    • growing potatoes: 마찬가지로 앞의 명사 'serfs'를 수식하여 '감자를 기르는 소작농들'이라는 의미를 만듭니다. (현재분사 growing이 명사 serfs를 후치 수식)
  3.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 which): 두 번 사용된 , which는 각각 앞선 내용을 부연 설명합니다.
    • 첫 번째 , which required planning and persistent labor,: '논을 가꾸는 일 (tending rice paddies)' 또는 그 과정 전체가 '계획과 끈질긴 노동을 요구했다'는 추가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런데 그것은 ~'으로 해석하면 자연스럽습니다.
    • 두 번째 , which required planting in the spring and harvesting in the fall,: '감자를 기르는 일 (growing potatoes)'이 '봄에 심고 가을에 수확하는 것을 요구했다'는 정보를 덧붙입니다. 마찬가지로 '그런데 그것은 ~'으로 해석됩니다.
  4. 'with'를 사용한 부대 상황 표현:
    • , with little attention necessary in between?: 이 부분은 'with + 명사 + 형용사/분사/전치사구' 형태로 사용되는 부대 상황 (동시 상황)을 나타내는 구문입니다. 여기서는 with + little attention (명사) + necessary in between (형용사구) 구조로, '필요한 관리가 그 사이에 거의 없는 상태로'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감자 재배가 심고 수확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관리가 필요 없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동시에 ~한 상태로' 또는 '~한 채로' 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5. 주요 어휘 및 대조:
    • independent farmers (자영농) vs serfs (농노, 소작농): 경제적, 사회적 지위의 차이를 대조합니다.
    • tending rice paddies (논농사) vs growing potatoes (감자 재배): 작물과 경작 방식의 차이를 대조합니다.
    • required planning and persistent labor (계획과 끈질긴 노동 필요) vs with little attention necessary in between (필요한 관리 거의 없음): 각 농업 방식이 요구하는 노력과 관리의 강도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이 문장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조상의 삶 방식이 요구하는 노동의 성격이 오늘날 개인의 특성이나 사회적 태도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는 더 큰 논의의 도입부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문장 분석을 통해 복잡한 정보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연결되는지 이해하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 (, which) 예문 (해석 방법: 그런데 그것은/그것이 또는 그런데 그 [선행사]는/이)

관계대명사 which의 계속적 용법은 앞선 명사 또는 구/절 전체를 선행사로 받아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 He got the job, which made his parents very happy.
  • 그는 그 일자리를 얻었는데, 그런데 그것은 그의 부모님을 매우 행복하게 만들었습니다. (선행사: 앞 절 전체)
  • She showed me her new phone, which was much bigger than mine.
  • 그녀는 나에게 새 전화를 보여주었는데, 그런데 그 새 전화는 내 것보다 훨씬 컸습니다. (선행사: her new phone)
  • They decided to cancel the trip, which was a shame.
  • 그들은 여행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는데, 그런데 그것은 안타까운 일이었습니다. (선행사: 앞 절 전체)
  • He arrived late, which annoyed the teacher.
  • 그는 늦게 도착했는데, 그런데 그것이 선생님을 짜증나게 했습니다. (선행사: 앞 절 전체)
  • We visited the museum, which had a famous painting.
  • 우리는 박물관을 방문했는데, 그런데 그 박물관에는 유명한 그림이 있었습니다. (선행사: the museum)

✨ 마무리 (Conclusion)

이번 포스팅에서는 길고 복잡한 영어 문장 하나를 가져와 그 구조와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특히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과 'with + 명사 + 수식어구' 형태의 부대 상황 구문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집중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긴 문장을 만났을 때 당황하지 않고, 주어 동사를 찾고 수식어구들을 끊어 읽으며 각 구문이 무엇을 수식하고 어떤 의미를 더하는지 파악하는 연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 배운 분석 방법을 통해 복잡한 영어 문장 독해에 대한 두려움을 떨치고 자신감을 키우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독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영어 문장 분석 콘텐츠로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궁금한 문장이나 표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