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단어 disembody와 embody의 해석방법
disembody : 현실과 유리되다(구체적이지 않게 되다, 주관적이지 않게 되다)
embody : 구현하다, 구체화하다, 구체적으로 포함하다
*** <disembodied 와 embody의 한국어 해석이 어려워요 ㅠ ㅠ >
Even if the reading was supposed to be disembodied and therefore objective, the result was that the viewpoints and skills became embodied in those using them.
(2024년 수능특강영어 11강 3번)
해설본 : 비록 그 해석은 현실로부터 유리되었고 따라서 객관적이라고 생각되었지만, 결과적으로 그 관점과 기술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서 구현되었다.
Even if 비록 -이었을 지라도(뒤의 시제가 과거시제)
the reading 그런 식으로 세상을 읽는 것이
the가 붙어 앞에 언급된 reading the world를 지칭하므로 ‘그런 식으로’라고 해석한다.
was supposed to be disembodied 현실과 유리되도록 되어 있고(주관적이지 않게 되어)
be supposed to 동사원형은 ‘-하기로 되어 있다 -해야한다’라는 의미이다.
and therefore objective, 따라서 (세상을 읽는 것이) 객관적 일지라도
and therefore는 ‘그래서’의미이다.
objective 앞에 주어인 reading이 생략되어 있다.
the result 그 결과는
was that - -것이었다.
be동사 뒤의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은 ‘-것’으로 해석한다.
the viewpoints and skills 그런 (객관적인-과학적인) 관점들과 기술들이
became embodied 구체적으로 포함되게 되었다.
embody는 ‘구현하다’로 해석해도 좋지만 ‘구체적으로 포함하다’의 의미로 해석해도 좋다.
in those 사람들 속에( 사람들의 사고 방식 속에)
using them. 그것 들을(객관적인 관점들과 기술들) 사용하는
using은 those(사람들) 뒤에 오므로 ‘사용하다 + -ㄴ’로 해석한다.
*** 좀 더 좋은 해석이 있으면 조언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