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 + imagine + 명사A + -ing' 구조의 문장 해석방법
명사A : 뒤의 ‘-ing'의 의미상의 주어이기에 ’-은/는/이/가‘로 해석한다.
‘-ing' : imagine(상상하다)와 어울리게 ’-한다라고‘로 해석한다.
We can imagine the continuous effect of historical experience acting like an ugly, unloved and happily forgotten dwarf, moving the pieces in the chess game of our everyday life.
(2024년 수능특강영어 13강 7번)
해설본 : 우리는 역사적 경험의 지속적인 영향력이 추하고, 사랑받지 못하고, 다행히 잊힌 난쟁이처럼 행동하는 것, 즉 우리 일상생활의 체스 게임에서 (체스) 말들을 움직이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We can imagine 우리는 상상할 수 있다.
the continuous effect 지속적으로 끼치고 있는 영향이
‘주어 + imagine + 명사A + -ing' 구조의 문장이다.
‘명사A'는 ’-ing'의 의미상의 주어이기에 ‘-은/는/이/가’로 해석한다.
of historical experience 역사 속에서 경험한 것이(= 과거가)
acting (현재의 우리들에게) 작용하고 있다라고
imagine의 목적어이니까 ‘-라고’로 해석한다.
like an ugly, unloved and happily forgotten dwarf 못생기고, 사랑받지 못해서 다행히도 사람들이 (체스판 아래에 숨어 있다는 것을) 잊고 있는 난쟁이처럼
, moving the pieces 그리고 (체스의) 말들을 움직이고 있다라고
‘,’는 and의 의미이고 moving은 acting과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라고’로 해석한다.
in the chess game 체스 시합에서
of our everyday life. 우리의 일상 생활이라는
of는 동격을 나타내므로 ‘-라는, -인’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