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수능영어해석법 : 3단계영어학원 부산양정영어학원] 2023년 수능특강영어 13강 3번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어해석법 & 수능영어해석법 : 3단계영어학원 부산양정영어학원] 2023년 수능특강영어 13강 3번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2. 25.

‘a second’의 해석방법

기존의 하나와는 다른 하나를 가리키는 단어라서 또 다른 하나의로 해석한다.

 

The fact that a majority of the global population has at least some level of multilingual competence surely indicates that adding a second language is not a remarkable feat.

(2024년 수능특강영어 133)

 

해설본 : 세계 인구의 대다수가 적어도 어느 정도 수준의 다중 언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히 제2 언어를 추가하는 것이 특별히 주목할 만한 재주는 아니라는 것을 보여 준다.

 

The fact 사실은

The는 뒤의 factthat이하의 수식을 받고 있어서 그 사실이라고 를 붙여서 해석하면 안돼요.

 

that - -라는

that은 명사 뒤에 오고 동격을 나타 낼 경우에는 ‘-라는, -으로 해석해야 하죠.

 

a majority 대다수가

 

of the global population 세계 인구의

 

has 가지고 있다

 

at least 적어도

 

some level of multilingual competence 어느 정도의 다중 언어 능력을

levelsome 뒤에 오는 경우에는 수준이 아니라 정도로 해석해야 합니다.

 

surely indicates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indicate나타내다, 보여주다로 해석하면 돼요.

 

that - -것을

타동사 뒤의 that‘-것을/를 혹은 -것이라고로 해석하면 돼요.

 

adding a second language (모국어에) 또 다른 언어 하나를 추가하는 것이

a second2혹은 또 다른 하나의라고 해석하면 좋아요.

'두번째의'라고 해석하는 것은 조금 안 좋아요.

 

is not a remarkable feat. 놀라운 재주는 아니다라는 (것을)

remarkable놀라운, 깜짝 놀래키는의 의미입니다.

feat업적보다는 재주로 해석한 것 아주 좋아요.

not않다가 아니라 ‘-아니다로 해석해야 하는데 주의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