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1 2026년 대비 2025년 6월 영어 모의고사 35번: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이 문서는 2025년 6월 고1 영어 모의고사 35번 문제에 대한 상세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 문제는 기억의 특성, 특히 인간의 기억이 완벽하게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지식 체계(정신적 도식, schemata)를 바탕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글의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각 문장이 주제문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또는 주제에서 벗어나 다른 내용을 언급하는지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공해주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지문 원문, 의미 단위별 번역, 문제 해설, 그리고 선택지 분석을 통해 지문의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문제 영어 지문 원문 의미 단위별 분석 및 번역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정답 ③
🌱 In the 1930s,
- 해석: 1930년대에,
- 해석 스킬: 'In the 1930s'는 1930년대에라는 시간을 나타내는 구(phrase)입니다.
📌 the British psychologist Sir Frederic Bartlett
- 해석: 영국의 심리학자 프레더릭 바틀렛 경은
- 해석 스킬: 'the British psychologist'는 영국의 심리학자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asked people to listen
- 해석: 사람들에게 듣도록 요청했다.
- 해석 스킬: 'asked people to ~'는 사람들에게 ~하도록 요청했다를 의미하는 구문입니다.
📌 to folktales from other countries
- 해석: 다른 나라의 민담을.
- 해석 스킬: 'folktales'는 민담을 의미합니다.
🌱 and then recall
- 해석: 그리고 나서 기억해내도록.
- 해석 스킬: 'recall'은 기억하다, 회상하다를 의미합니다.
📌 these stories at a later date.
- 해석: 이 이야기들을 나중에.
- 해석 스킬: 'at a later date'는 나중에라는 구(phrase)입니다. 'at'은 시간상의 한 지점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 As you might guess,
- 해석: 짐작할 수 있듯이,
- 해석 스킬: 'As you might guess'는 짐작할 수 있듯이라는 구문으로, 일반적인 예상을 언급할 때 사용됩니다.
📌 unfamiliar stories were not remembered
- 해석: 익숙하지 않은 이야기들은 기억되지 않았다.
- 해석 스킬: 'unfamiliar stories'는 익숙하지 않은 이야기들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as well as familiar stories.
- 해석: 익숙한 이야기들만큼 잘.
- 해석 스킬: 'not ~ as well as ...'는 ...만큼 잘 ~하지 않다라는 비교 구문입니다. 여기서 'remembered'가 뒤에도 생략되었다고 보면 '익숙한 이야기들이 기억되는 것만큼 잘 기억되지 않았다'로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① ) 🌱 Surprisingly, however,
- 해석: 그러나 놀랍게도,
- 해석 스킬: 'Surprisingly, however,'는 놀랍게도, 그러나라는 역접의 연결어구입니다.
📌 errors in memory were not random.
- 해석: 기억의 오류는 무작위적이지 않았다.
- 해석 스킬: 'errors in memory'는 기억의 오류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in'은 '~에 있어서'라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random'은 무작위의, 마구잡이의를 의미합니다. 이 문장은 기억의 오류가 단순히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패턴이 있음을 시사하며, 글의 핵심 내용으로 들어가는 전환점입니다.
( ② ) 🌱 Rather, subjects often rewrote
- 해석: 오히려, 실험 참가자들은 종종 재구성했다.
- 해석 스킬: 'Rather'는 오히려라는 연결어로, 앞선 문장('not random')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시작합니다. 'subjects'는 실험 참가자들을 의미합니다. 'rewrote'는 다시 쓰다, 재구성하다를 의미합니다.
📌 similar parts of the stories
- 해석: 그 이야기 중의 비슷한 부분들을.
- 해석 스킬: 'similar parts of the stories'는 이야기 중의 비슷한 부분들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in their own minds —
- 해석: 자기 자신들의 마음 속에서 —
- 해석 스킬: 'in their own minds'는 자기 자신들의 마음 속에서라는 구(phrase)입니다. 'in'은 '~안에'라는 전치사입니다.
📌 particularly the parts
- 해석: 특히 부분들을
- 해석 스킬: 'particularly'는 특히라는 부사입니다.
🌱 that made the least sense
- 해석: 가장 이해가 되지 않았던.
- 해석 스킬: 'make sense'는 이해되다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make the least sense'는 가장 적게 이해되다, 즉 가장 이해가 되지 않다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to them.
- 해석: 그들에게.
- 해석 스킬: **'to'는 '~에게'**라는 대상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이 문장은 기억의 오류가 무작위적이지 않고, 기억하는 사람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자신의 방식으로 '재구성'했음을 설명합니다.
( ③ ) 🌱 To attract a wide audience,
- 해석: 폭넓은 청중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 해석 스킬: 'To attract ~'는 ~끌어들이기 위해서는이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구문입니다. 'attract a wide audience'는 폭넓은 청중을 끌어들이다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stories should focus on topics
- 해석: 이야기가 주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해석 스킬: 'should focus on ~'은 ~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on'은 '~에'라는 대상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 that interest many people.
- 해석: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 해석 스킬: 'topics that interest many people'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주제들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이 문장은 이야기의 '기억'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이야기를 '흥미롭게 만드는 방법' 또는 '대중을 사로잡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글의 전반적인 주제인 '기억의 재구성 과정'과 무관하므로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입니다.
( ④ ) 🌱 Bartlett concluded that
- 해석: 바틀렛은 ~라고 결론지었다.
- 해석 스킬: 'concluded that ~'은 ~라고 결론지었다를 의미하는 구문입니다.
📌 when facing problems,
- 해석: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 해석 스킬: 'when facing problems'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라는 시간 부사구입니다. 'facing problems'는 'when (they are) facing problems'에서 'they are'가 생략된 형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humans draw upon mental schemata,
- 해석: 인간은 정신적 도식을 활용한다.
- 해석 스킬: 'draw upon ~'은 ~을 활용하다, 이용하다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mental schemata'는 정신적 도식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or shelves of stored knowledge
- 해석: 혹은 저장되어 있는 지식이라는 선반을.
- 해석 스킬: 'shelves of stored knowledge'는 저장된 지식의 선반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in our brains,
- 해석: 우리 뇌 속에.
- 해석 스킬: 'in our brains'는 우리 뇌 속에라는 구(phrase)입니다. 'in'은 '~안에'라는 전치사입니다.
📌 to fill in any minor gaps
- 해석: 어떤 작은 빈틈이라도 메우기 위해.
- 해석 스킬: 'to fill in ~'은 ~을 메우기 위해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구문입니다. 'fill in'은 채우다, 메우다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any minor gaps'는 어떤 작은 빈틈이라도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in our memories.
- 해석: 우리 기억 속에 있는.
- 해석 스킬: 'in our memories'는 우리 기억 속에 있는이라는 구(phrase)입니다. 'in'은 '~안에'라는 전치사입니다. 이 문장은 (②)에서 언급된 '재구성'의 원인을 **'정신적 도식(mental schemata)'**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글의 핵심 이론을 제시합니다.
( ⑤ ) 🌱 Therefore,
- 해석: 따라서,
- 해석 스킬: 'Therefore'는 따라서라는 결론을 나타내는 연결어입니다.
📌 remembering is an imaginative process
- 해석: 기억하는 것은 상상력이 풍부하게 작용하는 과정이다.
- 해석 스킬: 'remembering'은 기억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명사 주어입니다. 'an imaginative process'는 상상력이 풍부하게 작용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 that involves building
- 해석: (기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 해석 스킬: 'involves building upon ~'은 ~을 바탕으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를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building'은 구축하다, 형성하다를 의미합니다.
📌 upon past experiences.
- 해석: 과거에 겪은 경험들을 토대로.
- 해석 스킬: **'upon'은 '~위에, ~을 바탕으로'**라는 전치사입니다. 'past experiences'는 과거의 경험들을 의미하는 구(phrase)입니다. 이 문장은 앞선 설명들(기억의 오류가 무작위적이지 않고, 정신적 도식에 의해 채워진다)을 종합하여 **기억이 단순히 저장된 정보를 불러오는 것이 아니라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는 상상적인 과정'**임을 최종적으로 결론짓습니다.
📝 문제 해설 및 핵심 흐름 파악
이 문제는 글의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을 찾는 유형입니다. 핵심은 글의 **주제(main idea)**를 정확히 파악하고, 각 문장이 그 주제를 뒷받침하거나 발전시키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 글의 주제: 인간의 기억은 단순히 정보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지식(정신적 도식)을 바탕으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재구성'하는 능동적이고 상상적인 과정이다. 바틀렛의 민담 실험은 이러한 기억의 특성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 각 문장의 역할 분석:
- 주어진 글: 바틀렛의 실험 설정(낯선 민담 듣고 기억하기)과 초기 결과(낯선 이야기는 잘 기억 못 함)를 제시합니다.
- ①: 기억의 오류가 무작위적이지 않음을 지적하며, 기억의 특성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를 시작합니다.
- ②: 오류가 무작위적이지 않은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즉, 참가자들이 이해 안 되는 부분을 **자신의 방식으로 '재구성(rewrote)'**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기억의 능동적인 특성을 보여줍니다.
- ③: "폭넓은 청중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이야기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주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 문장은 이야기를 잘 '기억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야기를 '재미있게 만들거나 대중성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는 바틀렛 실험의 결론인 '기억의 재구성 과정'이라는 주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 ④: 바틀렛이 결론 내린 바를 제시합니다. 인간이 기억의 빈틈을 메울 때 **'정신적 도식(mental schemata)'**을 활용한다는 내용입니다. 이는 (②)에서 언급된 '재구성'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며, 글의 핵심 주장을 강화합니다.
- ⑤: **'따라서(Therefore)'**라는 연결어를 통해 글 전체의 결론을 내립니다. 기억이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는 '상상적인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이는 ①, ②, ④의 내용과 긴밀하게 연결되며 주제를 재확인합니다.
- 결론: (③)번 문장만이 이야기의 속성이나 대중성에 대해 언급하며, 기억의 작동 방식에 대한 글의 중심 흐름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 선택지 분석
- ① 놀랍게도, 그러나, 기억의 오류는 무작위적이지 않았다. (주제와 직접 관련: 기억 오류의 비무작위성)
- ② 오히려 실험 참가자들은 이야기 속에서 비슷한 부분들을 종종 자신의 머릿속에서 다시 써버리곤 했는데 — 특히 그들에게 가장 이해가 되지 않았던 부분들이 그랬다. (주제와 직접 관련: 기억의 재구성 과정 설명)
- ③ 폭넓은 청중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이야기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주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주제와 무관: 이야기의 대중성 확보 방법론)
- ④ 바틀렛은 문제가 생겼을 때, 인간은 뇌 속에 저장된 지식의 선반인 ‘정신적 도식’을 활용하여 기억 속의 작은 빈틈을 메운다고 결론지었다. (주제와 직접 관련: 기억 재구성의 메커니즘 제시)
- ⑤ 따라서 기억하는 것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해 나가는 상상적인 과정이다. (주제와 직접 관련: 글 전체의 결론 및 핵심 주장 요약)
'고1 영어 모의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1 2026년 대비 2025년 6월 영어 모의고사 34번 해설 및 풀이 (3) | 2025.06.15 |
---|---|
고1 2026년 대비 2025년 6월 영어 모의고사 38번 해설과 풀이 (3) | 2025.06.14 |
고1 2026년 대비 2025년 6월 영어 모의고사 36번 해설 및 풀이 (1) | 2025.06.13 |
2026학년도 대비 2025년 6월 고1 영어 모의고사 35번: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 (2) | 2025.06.11 |
2026학년도 대비 2025년 6월 고1 영어모의고사 34번: 빈칸 추론 문제 분석 및 해설 (3) | 2025.06.09 |